오늘의 경제 모음

축의금의 경제적 물가 적정선 가격은?

인사스톨러 2024. 2. 19. 20:48
300x250

 

저자가 축의금을 낸 지는 조금 오래된 거 같고 7만 원 정도 낸 거 같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연히 뉴스를 보다가 이런 기사를 보았습니다. 한번 보겠습니다.

 

1. 뉴스

 

   직장 선배 결혼식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가 “내가 서운하게 해 준 게 있냐”는 면박을 들었다는 직장인의 사연이 전해졌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의 ‘적정 액수’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19일 소셜미디어(SNS) 등에 따르면 자신을 사회초년생이라고 소개한 글쓴이 A 씨는 최근 온라인상에 ‘어제 선배 결혼식 축의금 5만 원 냈는데 제가 잘못한 것인가요’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글에 따르면 A씨는 최근 직장 선배 결혼식에 참석하며 축의금으로 5만 원을 냈다.
A 씨는 “선배가 ‘5만 원을 낸 것이 맞냐. 내가 네게 서운하게 해 준 게 있냐’고 말했다”며 “바쁜데도 시간을 내서 가줬더니 이런 소리를 하는 게 맞느냐”라고 적었다.
A 씨는 “결혼할 때 (그 선배를) 부를 생각도 없다”면서도 “재직 중인 회사가 작은 곳이라 참석하지 않기는 무리라고 생각돼 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A 씨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요즘 물가를 생각하면 10만 원이 적정하다’는 의견과 ‘하객들이 밥값이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강요한 것도 아니지 않으냐’는 의견이 맞섰다.
한 네티즌은 “요즘 식사비만 해도 5만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 축의금은 10만 원이 기본이라고 하더라”며 “5만 원 내고 밥 먹고 가면 되레 마이너스다. 회사 동료에게 너무 박한 게 아니냐”라고 적었다. “결혼식에 참석하면 10만 원, 참석하지 않으면 5만 원을 내는 것이 사회 통념”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반면 결혼 당사자가 직접 선택한 ‘비싼 밥값’을 하객에게 전가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 네티즌은 “누가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등 떠민 것도 아니다. 결혼식 목적이 돈 수금이냐”고 꼬집었다.
A 씨 선배의 계산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의견도 나왔다. 한 직장인은 댓글에서 “그렇게 따지자면 주말 최저시급 기준으로 계산한 때 오히려 신랑·신부가 하객에게 돈을 줘야 하는 꼴”이라며 “축하하는 마음과 와줘서 감사하다는 마음만 주고받으면 되지 않나”라고 했다.
축의금 액수를 둘러싼 고민과 갈등은 A씨만 겪는 것이 아니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야 할지를 두고 골머리 앓는 이들이 늘어가고 있다.
KB국민카드가 지난해 10월 고객 패널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축의금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3%가 ‘알고 지내는 사이(지인)’에게 5만 원 이하를 낸다고 했다. 5만~10만 원은 44%, 10만~20만 원은 2%였다.
[출처] - 국민일보

 

2. 뉴스의 논점

 

 

항상 물가가 오르고 비용이 오르면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비용에 대한 논쟁을  다루고 있습니다. 조의금이든 축의금이든 그 시대에 평균적인 금액이 있는데 그 기준이 상황에따라 모호해질 때가 있고 해도 되고 안 해도 될 때가 있으며 분쟁의 요소가 될 때가 많다는 내용입니다.

 

3. 결론과 의견

 

 

축의금이란것이 축하하는 의미로 주는 금액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상대적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 사람이 정말 축복해주고 싶다 정말 친하고 누구보다 아끼는 사람이라면 그만큼의 성의가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위에 직장선배가 서운하게 해 준 게 있냐? 물어봤다면 그것부터가 그 후배를 배려 안 했다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축하해 주러 직접 시간을 내어 왔는데 고맙게 생각해주기는 커녕 계산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5만 원이 아깝다 생각합니다. 대신에 직장후배도 센스가 필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예식장이 좀 크고 비싸 보이는 곳이라 생각되면 5만 원 내고 밥을 먹지 않고 사진 찍고 집에가면 되는것입니다. 제가 보통 이렇게 합니다. 괜히 눈치 보지않고 별로 안친한데 부패에서 밥먹는다고 있으면 속도 안편하고 불편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빠르게 사진찍고 눈도장만 찍고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요즘 평생직장이란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주 관두게 되고 이직도 많이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말이지만 만약 자기가 이 회사에 오래 다녀서 결혼까지 할 생각이라는 마음이 아니면 가지 않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친구 친척에 비해서 직장동료의 축의금은 회수가 어렵습니다. 하하 속물인가요? 저도 회수 못했거든요ㅜㅜ
728x90